농협중앙회의 유명무실한 감독기능이 부른 지역농협 조합장의 무소불위 권력 - 윤준병 국회의원,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지역농협 조합장 징계 현황 공개 - 총 66건 징계... 견책 등 사실상 경징계 처분이 태반인 48.5%로 솜방망이 처분에 그쳐 윤준병 의원, 실에서 배포한 국감자료를 토대로보면 “성희롱, 횡령, 갑질 등의 범죄와 비리에도 처분 수위는 견책에 그쳐... 내부통제 시스템 강화해야” ○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성희롱, 직장 내 괴롭힘(갑질), 횡령, 부적절한 직원 채용 등으로 징계를 받은 전국 농협 조합장들은 총 66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그런데 이들의 징계처분 내역을 보면 대다수인 48.5%가 견책 정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나 농협중앙회의 지역 조합에 대한 감독과 감사 기능이 유명무실하다는 비판이 일 것으로 보인다. ○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정읍시·고창군)이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농협 조합장 징계현황(2020년~2023년 6월)’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부적절한 직원채용으로 징계를 받은 조합장이 가장 많았으며(21명), 부적정 예산집행(14명), 업무처리 소홀(8명), 성희롱(6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