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예지 의원, 증가되고 있는 코로나 대비 치료제 부족 사태 발생 우려
“신속한 추가 구매를 통해 국민들이 코로나19에 대한 안심을 가질 수 있게 해야”
코로나19 증가세가 급증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치료제가 부족할 것으로 판단되어 당국의 적극적인 치료제 공급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김예지 의원실이 질병관리청으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3년 8월 31일 4급 표본감시 감염병 전환 이후 코로나19 입원환자 현황을 감시하고 있고 이에 따라 23년 12월 31일부터 24년 8월3일 현재 전국 코로나19 입원환자 수는 12,407명이고 이중 서울 2,972명, 경기 2,238명, 인천 929명, 부산 856명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양성 판정으로 먹는 치료제 투여 대상 (60세 이상 고령자, 12세 이상 기저질환자와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이 되면 처방받을 수 있는 치료제 재고량도 24년 8월 9일 기준으로 라케브리오 28,767명분과 팍스로비드 41,790명분으로 총 70,557명분만 재고량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광역자치단체별 치료제 재고량을 보면 세종 672명분, 충북 1,853명분, 울산 2,248명분, 대전 2,263명분, 전북 2,568명분 순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코로나19 입원환자수는 지난 7월 1주차 91명에서 4주차 465명으로 5.1배 늘어났으며 코로나19 치료제의 주간 사용량은 6월 4주 1272명분에서 7월 5주 4만2000명분 이상으로 약 32배 증가했다.
문제는 코로나19가 4급 감염병으로 격하되면서 전국 200병상 병원급 표본감시가관(220개소)에서 입원환자 수만을 신고하고 있어, 실제 전수 환자에 대한 확인이 불가하여 정확한 재확산 발생 추이가 정확히 확인되지 않아 국민들의 불안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김예지 의원은 “방학과 휴가 등이 끝나는 8월 말이 되면 지금보다 코로나19의 확산이 될 것이고 이에 따른 보유중인 치료제 소진으로 부족현상이 나타날 것이다”라며“치명률이 높은 고령자와 기저질환 등 고위험군들에게 치료제가 원활히 처방될 수 있도록 정부당국은 적극적인 치료제 확보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