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구름많음동두천 13.8℃
  • 맑음강릉 16.1℃
  • 구름조금서울 13.8℃
  • 맑음대전 14.9℃
  • 맑음대구 16.8℃
  • 맑음울산 15.7℃
  • 맑음광주 14.2℃
  • 맑음부산 15.9℃
  • 맑음고창 12.1℃
  • 맑음제주 16.0℃
  • 맑음강화 10.7℃
  • 맑음보은 13.5℃
  • 맑음금산 13.3℃
  • 맑음강진군 14.9℃
  • 맑음경주시 16.6℃
  • 맑음거제 14.4℃
기상청 제공

국회

더불어민주당 김상희 의원 외교부 올해 해킹시도 셋중 하나는 미국 외교정보유출시도는 100배이상 급증

외교부, 올해 해킹 시도 셋 중 하나는 미국

외교 정보 유출 시도는 100배 이상 급증!!

 

- 미국 IP 해킹 시도 2019년 1,113건 → 2022년 8월 2,709건으로 2.4배 이상 ↑

외교 정보유출 시도, 2013년 38건 → 2022년 8월 3,912건으로 100배 이상 ↑

- 지난 4년간 해외 IP 해킹 시도 건수는 34,222건, 그 중 1위는 미국(7,083건/ 20.7%), 중국 (5,482건/ 16%), 러시아(1,590건/ 4.6%) 순

- 김상희 의원, “단 1건의 외교기밀도 유출되지 않도록 외교부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

 

국가 외교기밀을 다루고 있는 외교부를 대상으로 한 해외 IP(인터넷 프로토콜,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해킹 시도가 매년 9천 건 이상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민주당 김상희 의원(외교통일위원회, 경기 부천병)이 외교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2년 8월까지 외교부에 대한 해킹 시도 건수는 34,222건으로 2019년 8,893건, 2020년 9,373건, 2021년 9,002건, 2022년 8월까지 6,954건으로 나타났다.

 

국가 IP별 해킹 시도는 지난 4년 간 미국이 20.7%(7,083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중국이 16%(5,482건), 러시아 4.6%(1,590건)이며, 그 외 독일, 프랑스, 인도 등의 국가들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0년까지 해킹 시도 1위 국가 IP는 중국이었지만, 작년부터 미국으로 그 순위가 변경되었다.

 

특히, 미국의 경우 해킹 시도 건수가 2019년 1,113건에서 2022년 올해 2,709건으로 2.4배 이상 급증했다. 올해 발생한 전체 해킹 시도 건수 중 미국이 39%를 차지했다. 중국의 경우는 2019년 2,187건에서 2020년 1,615건, 2021년 1,079건, 올해 601건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러시아는 2019년 250건에서 2020년 379건, 2021년 754건, 올해 207건으로 증가 추세이다.

 

<표-1> 외교부 대상 사이버 공격 시도 국가별 현황

 

2019

2020

2021

2022(8월 기준)

국가

건수

국가

건수

국가

건수

국가

건수

중국

2,187

중국

1,615

미국

1,732

미국

2,709

미국

1,113

미국

1,529

중국

1,079

중국

601

러시아

250

러시아

379

러시아

754

러시아

207

한국

246

한국

252

브라질

284

독일

176

프랑스

198

브라질

241

한국

280

한국

164

독일

187

독일

194

인도

265

홍콩

134

브라질

165

인도

193

영국

259

캐나다

131

말레이시아

152

프랑스

193

인도네시아

208

영국

128

홍콩

132

타이

152

독일

204

네덜란드

117

인도

121

인도네시아

141

프랑스

174

인도

102

기타

4,142

기타

4,484

기타

3,763

기타

2,485

합계

8,893

합계

9,373

합계

9,002

합계

6,954

 

※ 외교부 제출자료

 

최근 4년간 해킹 공격 유형별로 살펴보니‘서버 정보유출 시도’건수가 12,860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이는 전체 해킹 시도 건수의 37.6%이다. 그 다음은‘홈페이지 해킹시도’가 25%(8,627건),‘해킹을 통한 메일 탈취와 해킹 메일 수신’이 20%(6,836건)로 나타났다.

 

<표-2> 외교부 사이버 공격 시도 현황

 

공격유형

2019

2020

2021

2022.8

합계

악성코드 감염 시도

133

145

142

163

583

해킹메일 탈취, 해킹메일 수신

2,187

2,259

1,339

1,051

6,836

서비스거부

12

137

63

33

245

홈페이지 해킹시도

2,672

3,245

1,675

1,035

8,627

네트워크 침입시도

16

17

35

7

75

서버 정보유출 시도

2,362

2,216

4,370

3,912

12,860

서버 정보수집 시도

1,159

1,177

986

576

3,898

비인가 접근 시도

269

99

131

126

625

블랙IP

83

78

261

51

473

 

※ 외교부 제출자료

 

더 큰 문제는 해외 IP를 이용한 해킹 시도 중‘서버 정보유출 시도’가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외교부‘서버 정보유출 시도’건수는 2013년 단 38건에서 2014년 877건, 2015년 948건, 2016년 1,385건, 2017년 1,158건, 2018년 2,195건, 2019년 2,362건, 2020년 2,216건, 2021년 4,370건, 올해 3,912건으로 최근 10년 새 103배 급증했다.

 

외교 정보의 유출 시도가 급증한 것은 국제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역할과 위상이 지난 10년 동안 계속 높아진 점과 동시에 우리나라의 외교기밀이 그만큼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표-3> 최근 10년간 외교부에 대한 서버 정보유출 시도 현황

 

공격유형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8월

서버 정보유출

시도

38

877

948

1,385

1,158

2,195

2,362

2,216

4,370

3,912

 

※ 외교부 제출자료

 

이에 김상희 의원은 “외교부는 대통령 순방과 국제 조약 및 협정에 관한 국가 기밀을 다루고 있어 해킹으로 외교 정보가 유출될 경우 엄청난 국가적 피해를 야기 할 것이다”며, “해외 IP를 통한 지속적인 해킹 시도가 발생하고 있지만 외교부는 해당 국가에 협조 요청이나 국제 공조를 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은“해킹에 피해가 없더라도 진화하는 해킹 기술에 대한 다방면의 대응과 국제적 협력은 필수적이다”며, “단 1건의 외교기밀도 유출되지 않도록 외교부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 는 통학용 전세버스의 효율적인 운영과 개별 학교의 행정업무 부담을 경감하기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4월 8일부터 시행
통학용 전세버스,학교 단위 넘어 ‘교육청 직접 운영’한다 - 장거리 통학, 대중교통 불편 지역, 작은 학교도 안심 통학환경 기대 - 늘봄학교 확대에 따른 방과 후 통학도 체계적 지원 가능하도록 규제 개선 □ 기존에는 학교장 단위로만 가능했던 통학용 전세버스 계약을 앞으로는 교육감이나 교육장도 계약하고 운영할 수 있게 된다. ㅇ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통학용 전세버스의 효율적인 운영과 개별 학교의 행정업무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4월 8일부터 시행한다. □ 그간 각 학교는 통학거리가 멀거나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한 학생들의 통학편의를 제고하기 위해 전세버스사업자와 계약하여 통학용 전세버스를 운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존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이 통학용 전세버스를 각 학교마다 학교장이 별도 운영하는 상황을 전제로 규정하고 있던 탓에, 인접한 학교 간 통합 운영이 불가한 점 등 운영 효율성이 떨어져 교육부와 교육청의 지속적인 제도개선 요청이 있었다. ㅇ 먼저, 다수 학교가 가까이 위치하고 있더라도, 각 학교별로 통학용 전세버스를 계약할 수밖에 없어서, 수요가 충분하지 않은 학교(예: 이용 학생 10여명)는 통학용

금융감독원 은 뭐하는곳인지 아리송하다
금융 감독원이 생긴지 수십년이 지났지만 현재 취재진이 볼때는 별정직 이아닌가 하고 의문이 간다 왜 금융감독원이 생긴지를 의문이간다 예컨대 본지로 제보가 오는것은 대부분 손해보험업무가 대부분이고 생명보험역시 손해부분이 대부분이다. 금감원의 일부직원의 무성의한 업무처리와 금감원의 감찰담당역시 직무에 대한 감찰은 없다고 한다 이에따라 "국민신문고"를 통해 민원을 제기하지만 대부분 연락이 되질않고 그나마 보험의 지식이 의문이갈정도로 보험업계에 끌려가는 기분이든다 한마디로 보험업계의 대변이이 된 기분이다 아울러 보험업계를 감독하는 기관이 아니고 보험업계의 불만을 커버해주는 역할을하므로서 독자들의 불만이 발생한다 이에대해 보험에대한 기본약관을 설명하는 것은 금융감독원의 업무가 아니고 보험사의 업무를 금융감독원에서 대신 설명을 하고있어서 고객의 빈축을 사고있다. 최근에는 코로나의 핀계로 재택근무를 하고있다는 핑계로 전화통화도 어려운 상황이고 국민신문고 에민원을 제기해도 답변도 무시하는 경향이 이르고있어서 문제가 되곤하지만 대책은 없는 상태다 최소한의 기본적인 법률지식과 행정지식은 갖추고 금융감독업무를 해야 된다고 본다 본지취재진이 11월 9일 금융감독원 생명보험 담당과의

, 대한한약사회(회장 임채윤) 은 약사가 마약류 밀반입이라니, 어떻게 이럴 수가 있나!
약사가 마약류 밀반입이라니, 어떻게 이럴 수가 있나! 한약사의 마약류관리자 편입으로 국민 보건에 기여 필요 현직 약사가 허가받지 않은 마약류와 의약품을 해외 직구 수법으로 밀반입해 국내에 유통하다 세관에 적발된 사건에 대해, 대한한약사회(회장 임채윤)가 ‘국민 보건에 선봉장이 되어야 할 약사가 마약류 의약품을 밀수입한 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있어서는 안되는 일’이라며 강력히 규탄했다. 부산본부세관에 따르면 지난 2일 마약류관리법, 관세법 위반 혐의로 40대 약사 A씨가 불구속 송치되었다. A씨는 2022년 4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졸피뎀 1260정과 타이레놀 2만2330정을 해외에서 밀수입한 혐의를 받고 있으며, 2023년에도 동일 의약품을 동일 수법으로 밀반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졸피뎀은 마약류(향정신성의약품)로 소지, 사용, 수출, 수입 등이 금지·제한된 약품이다. 위와 같은 마약류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약칭:마약류관리법)으로 엄격히 관리되고 있는 품목이며 약국에서 취급 시 금고에 보관해야 하는 등 여타 의약품과는 달리 조심스럽게 관리해야 한다. 한약사회는 "하루가 다르게 마약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마약·향정신성의약품을 책임지고

우리아이 ‘쑥쑥’ 가족사랑도 ‘듬뿍’‥대규모 가족행사 성료
(교통문화신문)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가족 사랑을 확인하는 대규모 가족지원 행사 ‘얘들아! 놀자’가 지난 13일 경기도청 북부청사 운동장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14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영유아 자녀와 부모가 함께하는 가족친화 행사를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하고자, 경기도의 지원으로 경기도북부육아종합지원센터가 주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놀이기구, 체험활동 등 다양한 주제의 크고 작은 부스 20여 곳이 마련된 가운데 경기북부 10개 시군에 거주하는 영유아 및 부모 500여 가정 총 1,000여명이 참여해 다양한 체험활동을 즐겼다. 참가 가족들은 기차, 에어바운스, 다람쥐롤 등 행사장에 마련된 각종 놀이·운동기구를 탑승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아울러 영유아가 좋아하는 캐릭터를 활용한 ‘콩순이 율동교실’이 진행돼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 밖에도 의정부보건소, 북부스마트쉼센터, 의정부시Ⅱ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경기북부청소년성문화센터 등 각종 지역 연계기관이 참여, 유아빈혈검사, 영유아 스마트폰 과의존 부모상담, 영유아 식습관 교육, 가족성교육 등 양육 정보제공 및 체험 부스를 마련해 부모들에게도 유익한 시간이 됐다. 특히 이날 행사장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