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예지 의원, '패럴림픽 중계 확대를 위한 미디어 정책세미나' 개최
“장애인스포츠에 대한 관심 높아져…많은 국민이 함께 응원하고 즐길 수 있도록 패럴림픽 중계 확대해야”
김예지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12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패럴림픽 중계 확대를 위한 미디어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
김예지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2024 파리 올림픽과 패럴림픽을 바로 앞둔 시기에 세미나를 주최하게 되어 매우 의미 있게 생각한다”면서, “이 자리에서 논의될 패럴림픽 중계 확대는 단순한 스포츠 중계의 문제를 넘어, 우리 사회의 포용성과 다양성을 증진하는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패럴림픽(Paralympics)이라는 용어는 하지 마비를 뜻하는 ‘Paraplegia’의 접두어 ‘패러(Para)’와 ‘올림픽(Olympics)’의 어미 ‘림픽(lympics)’을 조합한 합성어로 1964년 도쿄패럴림픽 당시 주최측의 해석으로 처음 쓰이기 시작했고 ‘패럴림픽’이라는 대회명은 1988년 서울 대회에서 처음으로 공식 인정됐다”면서, “대한민국 서울은 패럴림픽 무브먼트에 있어서도 큰 의미를 갖는 상징적 도시이며 올림픽과 패럴림픽이 같은 개최지에서 나란히 열리게 된 것도 1988년 서울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이후 패럴림픽이 거듭 개최되면서 참가 장애의 폭이 넓어졌고 지금의 올림픽과 나란히, 함께 하는 패럴림픽의 의미를 갖게 됐다”면서, “패럴림픽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평등하고 포용적인 사회를 만들어가는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2018년 평창동계패럴림픽 이후 장애인스포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중계가 여전히 올림픽 중계에만 편중돼 이 같은 패럴림픽의 의미와 영감을 많은 국민이 함께 나누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면서, "오늘 세미나가 패럴림픽 중계 확대를 위한 더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세미나는 이재원 회장(용인대학교 교수)이 ‘장애인스포츠의 사회적 역할 및 중계의 중요성’이라는 주제로 첫 번째 발표를 했으며, 순천향대학교 심미선 교수가 ‘디지털 환경에서의 보편적 시청권과 장애인스포츠’라는 주제로, 입법정책연구원 강남기 박사가 ‘장애인스포츠 중계 확대를 위한 법제 정비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패널토론에는 영남대학교 윤석민 교수가 좌장으로 나섰고, 방송통신위원회 방송기반총괄과 곽진희 과장,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최선호 팀장, 단국대학교 최형준 교수, 문화체육관광부 장애인체육과 홍덕호 과장, 베이징패럴림픽 휠체어육상 금메달리스트 홍석만 박사가 토론을 맡아 각각의 현장에서 느끼는 패럴림픽대회 중계 확대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김예지 의원은 “많은 국민이 패럴림픽을 함께 응원하고 즐길 수 있도록 중계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장애인스포츠 저변을 확대뿐만이 아닌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들의 노력과 열정이 더 많은 사람에게 알려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패럴림픽대회 중계 확대를 위한 미디어 정책세미나' 는 김예지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대한장애인체육회가 주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