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이 같은수사기관인 검찰에 의해 또 압수수색을 당하는 수난을 겪었다.
국가정보원의 "정치대선개입의혹"을 수사중인 서울중앙지검의 특별수사팀(팀장,윤석열)은 20일 오전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 수사팀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서울 경찰청은 전국최대 규모의 지방경찰청이며 특히 사이버수사대는 경찰이 인터넷등 첨단범죄 전문수사를위해 만든 최정예 수사부서에 꼽힌다.
이번압수수색은 지난해 대선을 압두고 국정원 여직원의 댓글사건을 수사하던 수서경찰서에 서울경찰청이 "수사축소 은폐 "의 압력을 행사했다는의혹울 규명할 증거자료를 확보하기 위한것이다.
당시 수서서는 서울경찰청에 국정원 여직원의 컴퓨터에서 발견된 키워드 78개에 대한 분석을 요청했지만 서울청이 "시급한 사항이니 분석대상수를줄여달라"고 요청해 키워드를 4개로 줄여 다시보냈다.
당시 수사실무책임자였던 권은희 전 수서서 수사과장은 이뿐아니라 서울경찰청이 수사내내 부당하게 개입했다고 폭로한바있다.
검찰이 경찰의 수뇌기관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인것은 다소 의아한 이례적인일로 받아들여진다.
경찰이 뇌물수수등의 경찰 개인비리에 관한수사를위해 경찰서 사무실을 제한적으로 압수수색한 사례는 있었다.
하지만 경찰핵심기관 차원의 압수수색에 나선것은 지난해 5월 "선관위 디도스 공격 "사건에대한 특검수사와 2007년6월 "한화그룹회장의 보복폭행사건"에 이어 이번이 세번째로 본다.
디도스 특검은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일인 10월26일에 발생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디도스공격사건과 관련 ,경찰청 사이버 테러대응센타를 압수수색했었다.
수사과정에서 축소나 은폐의혹 을 확인하기위해서였다.
2007년 6월에는 검찰이 한화그룹회장의 보복폭행사건을 수사에대한 경찰수뇌부의 늑장 ,외압 ,의혹을 파헤치기위해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벌였었다.
당시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대와 남대문경찰서, 남대문경찰서 태평로지구대를 압수수색했었다.
당시 남대문 경찰서 서장실과 수사과장실 강력팀 사무실이 대상이었다.
당시 경찰수뇌부가 일선 경찰관서에 "수사 축소 은폐 "를 지시했다는 의혹으로 검찰의 수사대상이 됐다는점에서 이날압수수색과 유사하다는점이다.
검찰은 경찰뿐이 아니라 주요 의혹사건의 수사와관련해 다른여러 정부기관을 압수수색한바 있다.
지난 3월에는 국정원이 검찰의 압수수색대상이 됐었고 지난해 1월말에는 CNK주가조작 의혹사건과 관련해 외교통상부의 일부사무실이 압수수색의 대상이됐었다.
2010년 7월에는 국무총리실의 공직윤리지원관실이 민간인 불법사찰의혹으로 총리실 일부가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았었다.
한편 검찰은 1999년 ,조폐공사 파업유도 ,사건수사때에는 대검 공안부장실등 자체 사무실도 압수수색 을 실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