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문화신문) 도내 학교 찜통교실이 크게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충청북도교육청은 27일 교실 온도가 26℃가 되면 냉방기를 가동하고 15년 이상 사용해 노후화된 냉방기를 우선적으로 교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노후 된 냉방기가 설치된 도내 교실은 모두 734실(2016. 5월 기준)로 약 44억 8000만원의 예산이 소요될 예정이다.
또한, 학교 건물구조와 규모 등을 반영한 공공요금 지원 기준안 마련을 검토하고 학교운영기본경비도 연차적으로 증액하여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전기요금 부담으로 냉방기 가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지속적 노력의 일환이다.
도교육청은 학생 대상으로 냉방만족도 조사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참고해 냉방 가동을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아울러, 냉방을 시설별로 순차적(예: 일반교실→방과후교실→강당)으로 가동해 최대전력(Peak)을 낮추는 방안도 각급학교에 안내했으며, 학교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효율적인 최대수요전력 관리방법 연수도 실시할 계획이다.
전기요금은 기본요금과 전력사용량에 따른 전력량 요금을 합하여 계산하는데, 전기요금의 45%정도를 차지하는 기본요금은 최대전력에 따라 단가가 달라진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2015년 회계 결산 기준 학교예산(학교일반운영비)의 21.1%가 전기요금으로 사용됐으며 올해는 전기요금 예산 편성비율이 24.4%로 높아지는 등 학교운영에 큰 부담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한편, 기상청은 오는 6월과 8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것이라며 '무더운 여름'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