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 같은 공간’을 만든 사람들…김미애 의원,
인천청년미래센터에서 위기청년 지원 의지 밝혀
「가족돌봄 등 위기아동·청년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계기 센터 종사자 의견 청취
“한 사람의 변화가 세상을 바꾸는 시작이 될 수 있다고 믿어”
“더 많은 청년들이 찾아오고 함께 나눌 수 있도록 할 것”
“법안 제정 취지대로 운영되도록 예산 뒷받침하고 끝까지 책임지며 지원해 나갈 것”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간사, 김미애 의원(부산 해운대을, 재선)은 16일 인천 청년미래센터를 방문하여 종사자들과 현장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는 김미애 의원이 대표발의한 「가족돌봄 등 위기아동·청년지원에 관한 법률」이 지난 2월 본회의 통과를 계기로 마련됐으며,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현재 시범사업의 개선점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박은경 인천청년미래센터장, 인천시 황흥구 사회서비스원장, 인천시 김두현 복지정책과장, 복지부 은성호 인구사회서비스정책실장 등 2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김미애 의원은 “법안이 제정되면서 센터 운영의 법적 근거가 마련됐지만, 여기서 그치면 안 된다”면서 “가족돌봄, 고립‧은둔, 자립준비 등 다양한 위기 청년들이 적극적으로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실질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법안의 당초 취지대로 운영될 수 있도록 인력과 예산을 뒷받침하고, 개선 필요사항은 계속 고쳐가며 끝까지 책임지고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8월 업무를 시작한 인천청년미래센터는 타 지역 센터와 비교해 실적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다. 3월 기준 가족돌봄 상담실적은 1,296명, 고립은둔은 923명에 달한다.
비결을 묻자 박은경 센터장은 “찾아오는 청년들에게 마음을 다하고 가족처럼 대하려고 한다”면서 “정성을 쏟으니까 ‘여긴 집 같아요’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며 큰 보람을 느낀다고 했다.
이어 찾아오는 청년들을“유리 같다”고 표현하면서, “섬세하게, 조심스럽게, 그러나 끝내는 단단해질 수 있도록 함께하는 공간. 바로 그곳이 이 센터”라고 언급했다.
또한 ‘고은(고립·은둔)참여위원회’라는 자조모임을 운영 중인데, 청년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스스로 기획하는 프로그램으로 현재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고 하자, 김 의원은 “청년들의 첫 번째 여행은 꼭 갈 수 있도록 제가 돕겠다”고 화답하기도 했다.
박은경 센터장은 시범사업이라는 한계가 있지만, 이직률 등을 고려할 때 종사자 처우 개선이 필요하며, 고립은둔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의 특수성 등을 고려해 달라는 건의를 했고, 한 관계자는 “단기간에 청년들이 회복되는 사업이 아니기 때문에 긴 호흡으로 청년들이 회복될 때까지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주셨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끝으로 김미애 의원은 “한 사람의 변화가 세상을 바꾸는 시작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이 있고 더 많은 청년과 함께 나눌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면서 “자부심을 갖고 근무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