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적십자병원 올해 6곳 4곳 ‘휴진’
- ‘결원 발생 및 전문의 구인난’ 으로 1년 가까이 문 닫은 곳도
- 10차례 모집공고에 연봉 5억으로 올려 간신히 의사 구해
- 거창(33.3%), 서울(31.6%), 상주(26.3%), 영주(15.8%) 순 퇴직률 높아
- 박희승 “공공의료기관 휴진으로 인한 취약계층 의료 공백 우려”
❍ 공공보건의료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적십자병원의 휴진이 빈번해 취약계층의 의료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 연봉을 올려 재차 공고를 내도 채용 자체가 쉽지 않고, 퇴직률도 심각한 수준이다.
❍ 박희승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남원장수임실순창, 보건복지위)이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산하 6곳의 적십자병원 중 올해 4곳에서 일부 과목이 휴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결원 발생 및 전문의 구인난’으로 △서울적십자병원 가정의학과는 작년 7월 1일부터 올해 3월 31일까지 진료를 보지 못했다. 2023년 2차례의 공고(제시연봉 1억 2,400만원~1억 4,000만원)에도 인력을 충원하지 못했고, 올해 재차 3차례의 공고(제시 연봉 1억 4,000만원~1억 7,000만원) 끝에 간신히 채용이 이뤄졌다
❍ △인천적십자병원 신경외과는 올해 3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휴진했고, 2차례의 공고(제시연봉 3억 4,000만원) 끝에 의사를 채용할 수 있었다. △상주적십자병원 이비인후과는 작년 4월 1일부터 올해 2월 4일까지 장기간 휴진했으며, 9차례 연봉을 상향해 공고(1차 2억 7,000만원, 2~8차 2억 9,000만원)를 냈음에도 채용이 장기간 지연됐고 8월 21일부터 전문의 퇴사로 또 휴진 상태다
❍ 이밖에도 △통영적십자병원 신경과는 작년 3월 27일부터 10월 30일까지 휴진으로 3차례의 공고(1~2차 2억 9,100만원, 3차 3억 100만원)를 올렸지만 끝내 채용을 못해 국립경상대병원 전문의 파견을 통해 운영중이다. 또 △거창적십자병원 영상의학과는 올해 10차례 공고(1차~4차 4억 5,000만원, 5차 4억 6,000만원, 6~8차 4억 7,000만원, 9~10차 5억)를 낸 뒤에서야 가까스로 의사를 구할 수 있다
❍ 한편, 어렵게 채용이 이뤄져도 퇴직률도 높다. 올해 8월 기준, 퇴직률은 거창(33.3%), 서울(31.6%), 상주(26.3%), 영주(15.8%) 순이었다
❍ 박희승 의원은 “공공의료기관인 적십자병원의 휴진이 장기화될 경우 취약계층이 의료 사각지대에 놓일 수 있다. 특히 지방 소재 병원의 경우 결원 발생 시 정주 여건 등 지역적 한계로 충원에 어려움이 큰 만큼, 공보의 배치를 늘리고 정주 여건 개선 등이 동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