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쿠바 수교
-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對중남미 외교지평 확장 -
대통령실은 이번 한국과 쿠바의 수교와 관련해서 이번수교로인해 북한은 상당한 정치적 타격이 불기피할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이번수교와 관련해서 글로벌 중추국가를 지향하면서 국제사회에서 의 한국의 위상과 역할이 높아지고 있다는점과 한류에따라 쿠바국민의 한국에대한관심과 호감이 높아진게 긍정적 영향을 미친것으로 평가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우리나라와 쿠바는 2024.2.14(수) 미국 뉴욕에서 양국 주유엔대표부 간 외교 공한 교환을 통해 양국간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에 합의하였다.
※ 쿠바는 우리나라의 193번째 수교국이며, 유엔 회원국 중 남은 미수교국은 1개국(시리아)
중남미 카리브 지역 국가 중 유일한 미수교국인 쿠바와의 외교관계 수립은 우리의 대중남미 외교 강화를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서,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우리의 외교지평을 더욱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쿠바 수교는 양국간 경제협력 확대 및 우리 기업 진출 지원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양국간 실질협력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쿠바를 방문하는 우리 국민들*에 대한 체계적인 영사조력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코로나 이전까지 연간 약 1만 4천명의 우리 국민들이 쿠바를 방문 / 1921년 일제강점기 멕시코에서 쿠바로 이주한 한인 후손 1,100여명 거주
※ 양국 교역규모 : 수출 14백만불, 수입 7백만불(‘22)
그간 양국은 문화, 인적교류, 개발협력 등 비정치 분야를 중심으로 교류, 협력을 확대해 온바, 특히 최근 활발한 문화교류를 통한 양 국민간 우호인식 확산이 금번 양국간 수교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 △현지 한류 팬클럽 ‘ArtCor’ (규모 약 1만명) 운영중, △쿠바 영화제 개최(‘22.7월, 서울), 아바나 국제영화제 계기 한국영화 특별전 개최(’23.12월, 아바나)
우리 정부는 향후 쿠바 정부와 상호 상주공관 개설 등 수교 후속조치를 적극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