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09 (일)

  • 맑음동두천 -2.3℃
  • 맑음강릉 3.5℃
  • 박무서울 1.3℃
  • 박무대전 -0.7℃
  • 맑음대구 0.5℃
  • 맑음울산 2.7℃
  • 박무광주 1.0℃
  • 구름조금부산 5.3℃
  • 맑음고창 -2.2℃
  • 구름많음제주 5.8℃
  • 구름조금강화 -3.6℃
  • 맑음보은 -2.5℃
  • 맑음금산 -2.9℃
  • 맑음강진군 -1.1℃
  • 맑음경주시 -0.5℃
  • 맑음거제 3.0℃
기상청 제공

국회

더불어 민주당 최혜영 의원 죽어서도 거부당하는 무연고 사망자 . 중앙정부의 대책 촉구

죽어서도 거부당하는 무연고 사망자

 

- 무연고 사망자 2019년 1,850명 → 2021년 2,551명으로 1.4배 증가

 

- 무연고 사망자 10명 중 7명은 연고자 있어도 시신 인수 거부 당해...

 

- 무연고 사망자 부산 62.9%, 서울 53.3%, 강원 51.3% 증가

 

- 세종, 전남, 전북 등 7개 시도 무연고 사망자 시신거부 50% 이상 증가

 

- 최혜영 의원, “매년 증가하고 있는 무연고 사망자에 대해 중앙정부의 지원 필요. 중앙정부 차원의 장례지원 병행하여 고인에 대한 존엄과 편안한 영면을 도모해야..”강조

 

 

매년 무연고자의 사망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 중 상당수는 연고자가 있어도 시신 인수를 거부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혜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유형별 무연고 사망자 시신처리 현황에 따르면, 2021년 국내 무연고 사망자는 2,551명으로 2019년 1,850명 대비 약 1.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7월 기준 무연고 사망자는 이미 2019년 수준인 1,818명에 달했다. [표-1 참조]

무연고 사망자 유형별로 살펴보면, 실제 연고자가 없는 경우는 매년 약 20%정도 인 반면, 매년 약 70%는 연고자가 있어도 시신 인수를 거부(2019년 69.7% → 2020년 71% → 2021년 70.8% → 2022년 7월 70.5%)한 경우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1 참조]

 

<표-1> 유형별 무연고 사망자 현황 (단위: 명, %)

연도

(단위: 명)

연고자 없음

연고자 알 수 없음

연고자 있으나 시신거부

%

%

%

2019년

2,656

634

23.9

172

6.5

1,850

69.7

2020년

2,947

603

20.5

253

8.6

2,091

71.0

2021년

3,603

700

19.4

352

9.8

2,551

70.8

2022년 7월

2,578

516

20.0

244

9.5

1,818

70.5

※보건복지부 제출자료, 최혜영 의원실 재구성

 

시도별 무연고 사망자 시신처리 현황을 비교해 보면, 2019년 대비 2021년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지역은 부산으로 62.9%(2019년 245명 → 2021년 399명)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서울(53.3% ), 강원(51.3% ) 순이었다. [표-2 참조]

<표-2> 시도별 무연고 사망자 현황 (단위: 명, %)

시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7월

2019년 대비 2021년 증가율

2,656

2,947

3,603

2,578

35.7

부산

245

344

399

302

62.9

서울

531

583

814

640

53.3

강원

76

68

115

83

51.3

세종

7

8

10

5

42.9

전남

67

91

92

53

37.3

충북

82

101

112

48

36.6

전북

59

43

80

56

35.6

경기

615

658

828

551

34.6

경남

162

156

218

148

34.6

대구

155

186

201

121

29.7

제주

48

72

61

62

27.1

인천

206

251

256

198

24.3

울산

49

65

60

46

22.4

경북

110

138

128

57

16.4

광주

23

27

26

8

13.0

대전

90

79

87

73

-3.3

충남

131

77

116

127

-11.5

※보건복지부 제출자료, 최혜영 의원실 재구성

 

반면 대전(-3.3% ), 충남(-11.5% ) 지역은 같은 기간동안 무연고 사망자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2 참조]

 

매년 무연고 사망자 유형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던 “연고자 있으나 시신 인수 거부”한 사례를 지자체별로 나눠보면, 2019년 대비 2021년 증가율이 50%를 넘는 지역이 세종(100% ), 전남(100% ), 전북(82.4% ), 대전(80.6% ), 강원(61.7% ), 서울(58.9% ), 경남(51.9% ) 등 7곳에 달했다. [표-3 참조]

 

<표-3> 시도별 “연고자 있으나 시신 인수 거부”한 무연고 사망자 현황 (단위: 명, %)

시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7월

2019년 대비

2021년 증가율

1,850

2,091

2,551

1,818

37.9

세종

3

4

6

5

100

전남

28

48

56

23

100

전북

34

27

62

43

82.4

대전

31

57

56

55

80.6

강원

47

41

76

48

61.7

서울

372

425

591

455

58.9

경남

104

106

158

104

51.9

부산

186

242

277

206

48.9

대구

117

148

164

85

40.2

경기

458

470

589

392

28.6

제주

41

63

52

52

26.8

울산

24

47

30

25

25.0

충북

46

52

56

36

21.7

경북

79

101

94

43

19.0

인천

176

192

196

166

11.4

광주

19

15

18

3

-5.3

충남

85

53

70

77

-17.6

※보건복지부 제출자료, 최혜영 의원실 재구성

 

 

반면, 2019년 대비 2021년에 “연고자 있으나 시신 인수 거부”한 사례가 감소한 지역은 대전(–5.3% ) 과 충남 (–17.6% ) 지역으로 나타났다. [표-3 참조]

 

이에 대해 최혜영 의원은 “무연고 사망자가 매년 늘어나고 있으며, 유형별로 살펴보면 실제로는 연고자가 있어도 시신 인수를 거부하는 사례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전국민의 가슴을 아프게 했던 수원세모녀 역시 사망 후에도 친척들로부터 시신 인수를 거부당해 수원시에서 공영장례로 치른 바 있다. 매년 증가하고 있는 무연고 사망자에 대해 이제 지자체에만 맡기기보다는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중앙정부 차원의 장례지원을 병행하여 고인에 대한 존엄과 편안한 영면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 은 뭐하는곳인지 아리송하다
금융 감독원이 생긴지 수십년이 지났지만 현재 취재진이 볼때는 별정직 이아닌가 하고 의문이 간다 왜 금융감독원이 생긴지를 의문이간다 예컨대 본지로 제보가 오는것은 대부분 손해보험업무가 대부분이고 생명보험역시 손해부분이 대부분이다. 금감원의 일부직원의 무성의한 업무처리와 금감원의 감찰담당역시 직무에 대한 감찰은 없다고 한다 이에따라 "국민신문고"를 통해 민원을 제기하지만 대부분 연락이 되질않고 그나마 보험의 지식이 의문이갈정도로 보험업계에 끌려가는 기분이든다 한마디로 보험업계의 대변이이 된 기분이다 아울러 보험업계를 감독하는 기관이 아니고 보험업계의 불만을 커버해주는 역할을하므로서 독자들의 불만이 발생한다 이에대해 보험에대한 기본약관을 설명하는 것은 금융감독원의 업무가 아니고 보험사의 업무를 금융감독원에서 대신 설명을 하고있어서 고객의 빈축을 사고있다. 최근에는 코로나의 핀계로 재택근무를 하고있다는 핑계로 전화통화도 어려운 상황이고 국민신문고 에민원을 제기해도 답변도 무시하는 경향이 이르고있어서 문제가 되곤하지만 대책은 없는 상태다 최소한의 기본적인 법률지식과 행정지식은 갖추고 금융감독업무를 해야 된다고 본다 본지취재진이 11월 9일 금융감독원 생명보험 담당과의

공사 발주자의 갑질에 이를 비호 하고있는 법원 의 의혹
현재 우리나라의 법원은 약자를 위한 법원이라고 감히 자부할수있는지 묻고싶다 본지의 제보에 의해 취재를 해본결과 매우 황당한 법관들의 행태에 과연 판결 에대해 믿고 신뢰를 해야 할지가 의문이다 문제는 24년 공사발주자로부터 약 10억원 상당의 도색공사를 하고 공사비를 받기위해 노력을 하는 시공업자 A씨 의 예기를 들어보고 갖가지 자료를 검토해본결과 공사발주자는 공사비 미납분을 결재하지 않기위해 갖가지 방법으로 시공업자를 농락하고오히려 채무자로몰아 10억원을 청구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 심지어 공사비용 미납분 결재에 있어서 영수증대신 합의서를 작성하게하고 합의 위반으로 핑계를 삼아 오히려 뒤집어씌우고 10억을 보상하라면서 시공업자에게 지급명령서를 신청하여 이를 인용한 수도권 S지방법원 사법보좌관 이있어서 과연 사법보좌관 제도에 문제가 없는지 살펴봐야 된다고 본다 금액이 10억이라면 소액도 아니고 하여 정식 재판에서 법관이 판결로서 처리를 해야 될것으로 보이지만 이른바 채권자라는 의미로 만들어서 지급명령서를 발부했다 이런사실에 대해 시공업자는 대법원에 담당법관 3면에 대해 압류처분 인용결정에 대한 직권남용 과 헌법 제10조의 기본권인 재산권 침해와 방어권 침해로하여

우리아이 ‘쑥쑥’ 가족사랑도 ‘듬뿍’‥대규모 가족행사 성료
(교통문화신문)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가족 사랑을 확인하는 대규모 가족지원 행사 ‘얘들아! 놀자’가 지난 13일 경기도청 북부청사 운동장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14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영유아 자녀와 부모가 함께하는 가족친화 행사를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하고자, 경기도의 지원으로 경기도북부육아종합지원센터가 주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놀이기구, 체험활동 등 다양한 주제의 크고 작은 부스 20여 곳이 마련된 가운데 경기북부 10개 시군에 거주하는 영유아 및 부모 500여 가정 총 1,000여명이 참여해 다양한 체험활동을 즐겼다. 참가 가족들은 기차, 에어바운스, 다람쥐롤 등 행사장에 마련된 각종 놀이·운동기구를 탑승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아울러 영유아가 좋아하는 캐릭터를 활용한 ‘콩순이 율동교실’이 진행돼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 밖에도 의정부보건소, 북부스마트쉼센터, 의정부시Ⅱ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경기북부청소년성문화센터 등 각종 지역 연계기관이 참여, 유아빈혈검사, 영유아 스마트폰 과의존 부모상담, 영유아 식습관 교육, 가족성교육 등 양육 정보제공 및 체험 부스를 마련해 부모들에게도 유익한 시간이 됐다. 특히 이날 행사장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