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문화신문) ‘입시와 취업 위주의 성과주의 교육’, ‘일상을 파괴하는 몰카 범죄와 여성 혐오’, ‘반갑지만 갑작스러운 한반도 평화’, ‘청소년에겐 주어지지 않는 시민의 권리’ 등 오늘을 살아가는 청소년들이 직면한 사회와 시민으로서의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듣고 나누는 자리가 마련된다.
서울시는 청소년들과 함께 7일(금)과 8일(토) 양일간 서울시립청소년직업체험센터(이하 하자센터, 영등포구)에서 <오늘 시민, 오늘 민주주의>라는 주제로 ‘제10회 서울청소년창의서밋’을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 청소년들은 미래 진로에 대한 고민과 페미니즘, 참정권, 한반도 평화에 대해 직접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 의견을 나눈다.
지난 2008년부터 개최된 ‘서울청소년창의서밋’은 청소년과 청년을 위한 새로운 삶터와 일터, 배움터를 고민하는 포럼, 초청강연, 라운드테이블, 워크숍, 마을축제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의 오늘과 미래를 공유하는 장으로, 지난해 행사기간에는 약 2,500여 명이 참여한 바 있다.
특히 올해는 6명의 청소년들로 구성된 ‘청소년 기획단’이 주축이 되어 청소년이 실천해나갈 ‘일상의 민주주의’에 대해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갖는다.
하자센터의 ‘청소년 기획단’은 시민으로서의 청소년으로 토론하고 공유하며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등 센터의 주축이 되는 6명의 청소년 규성, 나무, 르네, 베넷, 유랑, 찌루로 구성되어 있다.
행사 첫날인 7일(금)에는 청소년 기획단이 선정한 4가지 주제를 가지고 개막무대를 연다. ①다르지만 괜찮은 삶, ②행복한 페미니즘, ③한반도 평화 시대, ④청소년 참정권에 대한 다양한 상상들이 개막무대를 채울 예정이다. 이외에도 워크숍, 라운드테이블, 포럼, 오픈톡, 이벤트, 전시 등 세부 프로그램이 이틀 동안 진행된다.
주제세션 1 「오늘 시민, 만들자, 제안하자」청소년 공약 워크숍(9월 7일 15:30~18:00)은 강연과 모둠 토론 형식으로 진행되며, 청소년들이 직접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정책제안 활동을 통해 정치적 권리를 지닌 시민으로서 일상의 민주주의를 경험한다.
주제세션 2 「우리는 더 많은 페미니스트 000을 원한다」 라운드테이블(9월 7일 15:30~17:30)에는 독립서점을 운영 중인 뮤지션 요조와 미디어 스타트업 ‘닷페이스’의 조소담 대표, 학교에 페미니즘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한 최현희 교사가 패널로 참여하여, 페미니즘을 통한 삶의 변화와 일상의 실천, 여성으로 사회적 목소리를 낸다는 것에 대해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청소년들과 이야기를 나눈다.
또한, 사회참여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청소년들이 시민으로서의 경험을 나누고 연대의 장을 만들어가는 주제세션 3 「5(five): 오늘을 사는 시민들의 이야기」를 비롯하여, ‘청소년의 고통을 미화하는 입시제도’, ‘교실 내 서열 문화’ 등 청소년 당사자의 시각으로 청소년을 둘러싼 사회 문제를 탐구하는 하자센터 10대 연구소의 데이터 공유회 「필드에서 막 돌아왔습니다」, 하자센터 청소년운영위원회가 준비한 오픈톡 「시유공의 말하는대로」 등 청소년들이 직접 기획하고 발언하고 참여하는 행사들이 예정되어 있다.
이밖에도 일상의 실천을 통해 지구환경 문제 해결에 직접 나선 시민들이 준비한 「에너지 마켓 & 노비닐 살림 展」, 청소년 토요진로학교 <평화책 순회전시> 청소년 큐레이터들이 평화감수성을 나누기 위해 준비한 전시 「피스 마멀레이드」, 이 시대의 가장 젊은 디자이너라 스스로를 표방하며 내일의 디자인을 바꾸겠다고 나선 청소년 디자이너들의 작업을 기록한 「젊고 용감한 워크숍 아카이브 전」 등 총 8개의 전시가 하자센터 곳곳에 펼쳐진다.
행사 이틀째인 8일(토)에는 하자센터 인근에 거주하며 단골 방문객이 된 어린이와 청소년, 어른들이 직접 꾸미는 먹거리 나눔과 마을 놀이터, 벼룩시장, 흥겨운 공연 등이 펼쳐진다. 함께 한 모든 시민들이 한자리에 모여 커다란 식탁에 둘러앉아 우정과 환대를 나누는 ‘모두의 식탁’을 끝으로 마무리 된다.
이번 ‘제10회 서울청소년창의서밋’에는 일상의 민주주의를 고민하는 청소년과 시민이면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자세한 프로그램 안내와 사전신청은 온라인(http://haja.net)으로 가능하다.
백호 서울시 평생교육국장은 “서울청소년창의서밋을 통하여 ‘사람이 중심인 서울, 시민이 행복한 서울’을 느끼고 경험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청소년이 직접 삶의 현장에서 ‘일상의 민주주의’를 뿌리내리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