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문화신문) 서울시는 청년들에게 일정기간 여행, 봉사, 인턴 등 새로운 환경에서 활동하면서 진로를 모색하는 시간을 주기 위해 「2018년 청년인생설계학교」를 올해 처음 개설하고 참여자를 모집한다.
서울 거주 만 19세~29세(1989년~1999년 출생자) 미취업 청년으로 총 200명을 모집한다. 200명중 140명(70%)는 일반 모집이며, 60명(30%)은 우선 모집 대상으로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이하로 무작위 전산 추첨을 통해 선발한다.
‘갭이어(Gap year)’는 학업 또는 직무를 잠시 중단하고 봉사, 직업 체험, 여행 등을 통해 적성을 탐색하여 향후 진로를 설정하는 시간으로, 2017년 8월 청년의회가 서울시에 청년 정책으로 제안한 내용이다.
서울시는 청년정책 수립시 청년 당사자 주의를 원칙으로, 2013년부터 서울에 거주하거나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만 19~39세 청년들이 직접 정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이하 청정넷)를 운영해오고 있다.
2017년 청년의회는 갭이어 지원뿐만 아니라 청년 마음건강 바우처 사업, 미취업자 학자금 이자 지원 확대 등 총 10대 정책을 제안했다.
「청년인생설계학교」는 맹목적인 스펙 쌓기와 구직 활동에 내몰려 자신을 깊이 있게 탐색하고 삶을 주체적으로 설계할 기회를 갖지 못하는 이 시대 청년들을 위한 학교다.
자기 탐구와 다양한 사회 경험을 통해 갭이어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고, 인생 전환기에 놓인 청년들이 갭이어를 의미 있게 보내는 방법을 배울 수 있게 한다는 것이 이번 사업의 목표이다.
「청년인생설계학교」는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서울자유시민대학, 모두의학교, 청년교류공간 등을 옮겨 다니며 진행된다.
9월 6일(목) 갭이어 이해를 위한 토크콘서트를 시작으로 탐색하기(인생 디자인, 퍼스널테스트, 나를 찾아줘) ,사유하기(인생의 대화, 인생 수업, 포트폴리오) ,관계맺기(캠프, 소그룹 활동, 도전!만화 요리) ,확장하기(미니 인턴, 소셜디자이너, 미니 갭이어 등) 등 단계별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각종 강연과 체험 프로그램, 커뮤니티 활동 등을 통해 일상에서 한발 물러나 자신을 온전히 탐색하고 또래와 함께 다양한 삶의 형태와 인생의 가치에 대해 사유해볼 수 있다.
원하는 직종의 실무를 체험해볼 수 있는 미니 인턴쉽 기회도 제공되며, 콘텐츠 창작자(크리에이터) 또는 소셜 디자이너가 되어 보거나 협동조합을 경험해볼 수도 있다.
프로그램 후반부에는 앞선 과정의 배움을 토대로 2주간 제주도 무전 여행, 지리산에서 살아보기, 사찰 생활 체험(템플스테이) 등 미니 갭이어를 갖고 자신의 삶을 설계하기 위한 본격적인 준비를 마치게 된다.
모든 과정은 무료로 진행되며, 참여 신청은 8월 17일(금)부터 27일(월)까지 서울시 누리집(http://www.seoul.go.kr) 및 서울특별시 평생교육진흥원 누리집(http://smile.seoul.kr)에서 온라인으로 하면 된다.
각 과정의 70% 이상 출석 시 서울시장 명의 수료증을 발급한다. 기타 신청·접수 관련 문의는 서울시 청년정책담당관(02-2133-6590), 프로그램 관련 문의는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02-716-6429)으로 전화하면 된다.
전효관 서울혁신기획관은 “청년인생설계학교는 서울시 청년들이 일상에서 한발 물어나 삶의 방향을 찾는 시간일뿐만 아니라 또래 친구들과의 커뮤니티를 통해 든든한 지지자를 만나고 자신의 인생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준비를 하는 중요한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