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문화신문) 경기도가 지진 등 주요 재난 발생 시 도민들이 ‘72시간 생존’하는데 필요한 장비와 제도, 교육 등 대책마련에 착수한다. 72시간은 1995년 일본 고베 지진 당시 구조 활동 정상화에 걸린 시간으로, 도는 최소 사흘 동안은 구조요원의 도움 없이도 도민 스스로 생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정훈 경기도 안전관리실장은 14일 오전 10시 30분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형 지진종합대책인 ‘지진 72시간 생존계획 - 방재(防災)3+ 플랜’을 발표하고, 현실적 대책마련을 위해 민간과 관공서, 지역공동체가 함께 준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도는 지난 9월 지진종합대책 마련을 위해 지진대응 선진국인 일본을 방문, 재난대응 체계를 벤치마킹한 바 있다.
김정훈 실장은 “6,400여명 이상이 사망한 한신·아와이 대지진(고베지진) 발생 당시 구조대의 구출을 받은 사람은 1.7%에 불과했다. 90%이상이 본인과 가족, 친구, 이웃 등의 도움으로 구조된 것”이라며 “지진대응 선진국인 일본도 대형지진 발생시 3일 동안은 구조 활동 정상화가 어렵다고 한다. 구조 활동이 정상화될 때 까지 생존할 수 있는 72시간 생존계획을 민간과 관공서, 지역사회가 함께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방재(防災)3+ 플랜’은 민간과 관공서, 공동체에서 준비해야 할 72시간 생존계획을 담은 것으로 ‘방재(防災)3+’의 +는 민간과 관공서, 공동체가 함께 생존계획을 마련해야 한다는 협력의 의미라고 도는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 번째로 경기도는 도민의 72시간 생존을 돕기 위해 관련 제도 마련과 관련 장비 보급, 교육에 집중하기로 했다.
도는 우선 재난 발생시 국민의 의무를 법으로 정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5조 국민의 책무 항’에 ‘국민은 식품, 음료수, 기타 생필품 물자의 비축, 기타 스스로 재해에 대비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는 조항을 추가 신설하기로 하고 이를 지난 11월 국민안전처에 건의했다. 현행 국민의 책무는 재난 발생 시 개인은 공공의 구조 활동에 협조해야 하며 사고 예방 노력을 해야 한다는 내용만 있다.
또한 도는 방진마스크와 알미늄 담요 등 총 26종의 비상구호물품이 담긴 ‘경기도 비상물품세트(Safety set)’를 제작, 각 가정과 개인이 갖출 수 있도록 독려하기로 했다. 비상물품세트는 1~3인용까지 있으며 2~3일 정도 생존에 필요한 필수 용품위주로 구성된다. 도는 비상물품세트 제작 후 내년 봄쯤 경기도주식회사를 통해 판매할 예정이다.
이밖에 어린이집, 초·중학교에 대한 재난교육과 체험활동을 강화해 어려서부터 안전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생활▲교통▲자연재난▲사회기반체계▲범죄▲보건 등 6개 분야의 안전을 주제로 한 교육 콘텐츠를 만화, 플래시송 등으로 제작해 보급하기로 했다.
두 번째로 도는 도민의 72시간 생존을 위해 매뉴얼 제작·보급과 재난안전체험 교육관 건립, 광역방재활동 거점센터 운영 등을 지원한다.
경기도는 우선 도민들의 사고대응능력을 높이기 위해 자연재해, 생활안전 재난 등 각 상황별 35개 가이드라인을 담은 재난안전매뉴얼을 제작해 배포할 방침이다. 인터넷과 모바일, 반상회보, 소책자 등으로 공급될 재난안전매뉴얼은 도에 거주하는 36만 여 명의 외국인을 위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로도 제작돼 배포된다.
재난안전체험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안전체험관 건립도 추진된다. 경기도는 2019년까지 오산시 내삼미동에 안전체험관(가칭 세이프빌리지)을 신축할 예정이다. 3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1만6,500㎡ 부지에 조성되는 재난안전체험관은 경기도 재난안전본부가 직접 재난안전시뮬레이션, 가상현실(VR)체험 등 다양한 재난상황과 생활안전에 대한 교육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도는 안산시 해양안전체험관 건립을 비롯해 학생안전체험관, 소방서 미니체험실 4개소 등을 추가 신설할 방침이다. 현재 경기도에는 교통안전공원과 소방서 등에 18개 소형 체험관만 있을 뿐 종합체험관은 없는 상태다.
이밖에도 도는 내년 12월까지 동부, 북부, 남부 등 3개 권역별로 각 1개씩 복구장비 및 구호물품 보관을 위한 대형 선반과 지게차 등이 완비된 비축 거점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세 번째 공동체가 함께 하는 72시간 생존전략으로 도는 지역별 복구장비 비축, 재해구호물자 민간기업 협력, 특수자율방재단 구성 등을 추진한다.
먼저 도는 170개소에 재난관리물품 보관 창고를 내년 말까지 보급할 방침이다. 이 창고에는 재난발생시 필요한 구호물품과 발전기, 수중펌프 장비 등을 보관하게 된다. 도는 내년 2월까지 창고 설치 희망지를 파악한 후 177억 원의 예산을 들여 창고와 물품 배치를 완료할 방침이다. 쌀과 생수, 라면, 치약 등 장기간 보관이 힘든 개별구호물품은 이재민 발생 즉시 구호물자와 함께 지원할 수 있도록 시군에서 인근 대형마트와 계약을 체결하도록 했다.
또한, 도는 내년 3월 중으로 조례 제정을 통해 시군 자율방재대원 300여 명을 경기도연합회 소속 특수자율방재단에 편성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들은 재난 발생시 정부의 방재활동을 지원하는 지역단위의 자율방재활동을 하게 된다. 도는 의사, 간호사, 중장비 운전사, 건설기술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중심으로 특수자율방재단을 구성할 계획이다.
한편, 도는 ‘방재(防災)3+ 플랜’과 별도로 기존에 진행하던 공공건축물에 대한 내진 보강 강화, 신속한 대피를 위한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등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경기도내 공공건축물 1,756개 가운데 내진성능이 확보된 건축물은 1,003개소로 57% 수준이다. 도는 나머지 753개 공공건축물에 대해 2,275억 원을 투입해 2030년까지 내진보강을 우선 시행하기로 했다. 당초 도는 2035년까지 내진보강을 완료할 계획이었으나, 지진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완료시점을 5년 단축했다.
신속한 대피를 위한 조기경보시스템도 마련된다. 도는 1단계로 내년 3월까지 경기도 재난안전본부와 17개 소방서 등 모두 18곳에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을 설치하고, 이어 2단계로 도와 시·군청, 주민센터 등 955개소에 74억 8,500만 원을 들여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2017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경기도 안전대동여지도 어플리케이션과 문자 등을 통해 지진 알림을 강화하기로 했다.
김 실장은 “수원시에서도 관측 이래 첫 지진이 발생할 만큼 대한민국 어디도 지진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면서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72시간 생존전략에 필요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대규모 캠페인을 전개하는 등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