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어버이날을 맞이하여 조선시대 국왕의 효성과 양로정책을 조명하는 ‘정조의 효성과 노인공경’ 작은 전시를 오는 7일부터 9월 8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2층 조선의 국왕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정조의 효성과 관련된 글과 글씨, 그림, 인장 등 14건 17점의 유물을 공개하여 정조의 왕실 웃어른에 대한 효성이 왕실차원에 국한되지 않고 전국의 노인에 대한 공경으로 확산되었음을 소개하고, 또 비명에 죽은 아버지 사도세자에 대한 애틋한 감정을 엿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정조는 대왕대비 김씨(정순왕후)가 50세,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가 60세가 된 1794년과 혜경궁 홍씨의 회갑인 1795년 두 해에 걸쳐, 두 왕실어른의 장수를 축원하고 효성을 널리 확산하기 위해 다양한 행사를 거행하였다. 1794년 정조는 두 왕실어른의 경사를 축하하면서 전국의 장수한 노인을 조사하여 벼슬을 내리고 이를 기록한 「어정인서록(御定人瑞錄)」을 간행하게 하였다. <인서록서(仁瑞錄序)>는 「어정인서록」 간행을 위해 정조가 직접 짓고 쓴 서문의 초고이다.
<인서연운시(仁瑞聯韻詩)> 중 ‘정조와 호위신하들의 근체시(近體詩) 모음’은 「어정인서록」의 발간을 기념한 연회에서 정조와 24명의 신하들이 작성한 시를 모은 것으로 참가자들의 꾸밈없는 필치를 보여준다. 정조의 친필로 이루어진 <인서록서>와 <인서연운시>는 이번 전시를 통해 최초로 공개되는 자료들이다.